- 파이널 오랄 후기
- 컴퓨터로 보실때 글자가 작다면 Ctrl키를 누른상태에서 마우스휠을 위로 굴리면 화면이 확대됩니다.
5. 5학년
5.1. Internal Medicine(Hematology)
Internal hematology final exam
examiner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parts by Dr Remenyi
Practical part:
-same patient was examined by all the student one by one
-Questions: (there were 5 students examined by Dr. Remenyi)
1.Lymph node palpation+name
2.Lung examination
3.Abdominal examination
specifically liver and spleen
what does disappeared dullness mean? Bowel perforation
4.Heart percussion
5.Pulses (whole body)
Theoretical part:
pick 2topics
사용한 자료:
1.Lecture slides(google drive)
2.Solla note - 렉슬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토픽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토픽도 있어서 렉슬 체크하는 걸 추천해요! 저는 렉쳐슬라이드를 먼저 공부하고 나서 쏠라 봤어요!
항상 그렇듯, diagnosis 와 treatment!
Frequently asked Q:
Which drug commonly cause Thrompocytopathy? Aspirin
What is the most common drug causing acquired vWF disease?Aspirin or NSAID
Which drug commonly cause Thrombocytopenia? Heparin
How to perform Bleeding time test?
[Internal]
프랙) 로버트 사즈 그룹6세미나티처;
이분은 그냥 무조건 패스 줌 바이오케미컬 물어봅니다.
PCR은 뭐냐 Cytoflow는 뭐냐 FiSH는 뭐냐
차이가 뭐냐 뭐그 더 sensotive하냐~~~
이걸 AML CML등에 연관지어서 계속 물어봅니다.
한 30분 시달려주면 4점 줍니다. 어쨋든 통과는 준다는 걸 알고 있어서 피곤하긴 했는데 할만 했어요.
띠오리) 이름 몰라요… p 뭐로 시작하는 교수 (닥터말고 프롶으로 부르네요)
시작하면서 토픽하나는 자기 입으로 직접 고르랍니다.
"이건 어쩌면 끔찍한 트릭일수 있다, 추가 질문이 많을꺼다" 라면서 웃더군요.
뻥이구요 이 교수 만나면 그냥 쉬운거 (anemia, sickle cell TTP뭐 이런거 하세요)
중요한 것만 물어보고 나머지는 말 짜릅니다.
추가 질문은 꽤 하지만 떨어뜨리는 분위기는 아니고 잘 모르면 옆에 사람 물어봅니다. 단점이 있다면 준비 시간안주고 바로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의 희생양 첫타자~ ㅜㅜ
제일 잘한애가 5점 제일 못한 애는… 4점입니다 ^^
Internal
Dr. Ferenc Magyari
8시에 수업 자주하던 세미나룸에서 미니멀 먼저 봅니다. 문제는 20문제이고 2개 까지 틀릴수있어요. 다 보면 선생을 지정해줘서 그 선생한테 pe랑 시험을 보게 됩니다.
PE
선생님이 너무 바빠서 환자 한명 붙여놓은다음에 한참 이따가 시험봤어요. 정말 기본적인것들, physical examination의 category abdominal regions 등 물어봤어요. practical한 것은 안시키고 그냥 형식적인 시험있어요.
Theory 기본적인 것들은 다 말했고 특별히 질문했었던것들만 적을게요.
PNH
pnh에서 찾을수있는 cell marker (flow cytometry, cd55+)
specific treatment (eculizumab - 특별한점은? 엄청 비싸다)
color of the urine
확실한건 symptom이나 etiology는 궁금해하지도 않고 diagnosis, classification, treatment를 엄청 물어봅니다
PV
JAK2 mutation - drug? (Ruxolitinib)
phlebotomy
aspirin
salicyclic acid
hydroxyurea
계속 약들 더 얘기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중요한건 ruxolitinib, phlebotomy, salicyclic acid정도 일것 같네요.
pv가 aml로 가기전에 어떤 단계를 하나 더 거치는데 무엇이냐? myelofibrosis
다 끝나고 너무 아쉬워서 제가 질문 한개 더 달라고 하니깐 AML에서 good prognosis랑 bad prognosis distinguish를 어떻게 하냐고 물어보더군요. 특정한 chromosome translocation이랑 age, previous disease 등 말하면 되는거같아요. 저는 FAB classification 설명하니깐 아니랍니다..
8시에 갔다가 1시에 시험이 끝났는데 이건 선생마다 케바케입니다. 저희 선생님은 엄청 바빠서 거의 3시간을 넘게 기다렸습니다ㅋㅋ한시간만에 끝난 애들도 있었구요. 시험은 대체적으로 많이 물어보긴하는데 토픽에대한 기본적인 지식들을 알고있으면 절대 떨어트리진 않는것같습니다. 저 앞에 본 학생은multiple myeloma에서 CRAB (indications for treatment) 도 몰랐는데 선생이 유추해줘서 간신히 통과는 주더라구요. 신기하게 물어보는 질문들을 잘 유추하면서 대답을 꽤 잘하더라구요.. symptom이랑 etiology보단 diagnosis, classification, treatment를 많이 보고 가시면 도움이 많이 될 듯합니다. 아 그리고 토픽은 두파트로 나눠서 뽑지않고 무작위로 뽑는거같아요. (케바케이겠지만) 다른 선생님한테 봤던 제 친구는 선생님이 번호 하나 말해보라해서 19번 말하니깐 10번이랑 9번 하라고 했다네요..ㅋㅋ 남은 파이널 화이팅입니다!
2019.07.12
Internal - Hematology
Dr. Váróczy László
미니멀은 8시에 바로 칩니다. 시험치는 곳은 세미나하는 장소라고 하는데 처음 가본 곳이었어요. 길치라 정확한 위치는 기억이 안 납니다. 헝가리식 1층이에요. 20개 중에 최대 2개 틀릴 수 있어요. 헝국인들도 함께 칩니다.
미니멀 치고 Dr. Váróczy László가 들어와서 학생들을 배분합니다. 너는 Prof.누구 니까 여기로 가라 이런식으로요.
저는 Dr. Váróczy László가 프랙, 띠오리 둘다라서 그냥 거기에 있었습니다.
프랙은 환자 배당해주고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하라고 한 다음 나가니까 언어의 장벽으로 인해 힘들다면 구글 번역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할 듯 합니다. 마치고 나면 원래 방으로 돌아오면 됩니다.
돌아와서 기다리고 있으면 띠오리 토픽을 뽑고 적을 시간을 가집니다.
다 적으면 프랙과 띠오리 두가지를 오랄하듯이 하면 되므니다.
프랙은 그냥 하던대로 하면 됩니다. 이름, 성별, 나이, 직업, 영양상태 간단히 적어주고 complaint-history-general condition으로 history taking마치고 PE로 넘어가면 됩니다. PE는 얼굴-목-등-가슴-배-다리-CRT 순으로 차례대로 하면 됩니다.
complaint이랑 history 말하고 있으니까 지겨우신 듯 바로 Dx물어보십니다. multiple myeloma라고 말했더니 환자의 첫 complaint이 뭐냐고 물으십니다. Joint pain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pain을 어떻게 characterize하는 지 물으셨습니다. PQRST하면 되지요. PE에서 찾은 특별한 점이 있느냐고 물으셨습니다. hepatomegaly라고 대답하니 liver examination을 어떻게 하는 지 물어보셨습니다. palpation은 다들 아시는대로 rib cage아래에 손 넣고 숨들이마쉬기, percussion으로는 dullness를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밖에도 auscultation으로 scratch sound도 쓸 수 있긴 한데 말할 기회는 없었습니다.
2. Essential normal values in haematology. Peripheral blood smear, bone marrow specimen (laboratory method).
뭔가 토픽 커버하면서 2번토픽은 피지컬로 떼울 수 있을 듯해서 따로 안 봤는데 뙇 뽑네요. 허허
뭔가 오랄 시작부터 숫자늘어놓는 건 노잼일 것 같아서 smear부터 설명했습니다. thick&thin이 있고 이건 말라리아 screen/distinguish에서 쓴다. 1000배 확대한다.
그 후 볼 수 있는 cellular abnormality를 기억나는대로 다 적어내 말했습니다.
basophilic stippling: lead poisoning
Rouleaux: Sickle cell disease
Howell Jolly Body: Sickle cell disease(spleen sequestration), post-splenectomy
Heinz body: alpha thalassemia, G6PDH deficiency
Schistocytosis: MAHA(microangiopathic hemolytic anemia) such as DIC, HELLP, HUS/TTP, Polyarteritis nodosa, Wegener's granulomatosis, Antiphospholipid syndrome, PNH, Paraneoplastic syndrome
Spherocytosis: AIHA, hereditary spherocytosis(all cells), Hemolytic anemia(some cells)
말하니까 끊고 peripheral smear에서 WBC 뭐 볼 수 있냐고 물으십니다. Never Let Monkeys Eat Banana아시죠 다들?
count물으십니다. 첨엔 ratio묻는 줄 알고 60:30:6:3:1말했는데 그게 아니라 총 카운트 말하라고 해서 4.8-10.8G/L말했습니다. 이외에도 Thrombocyte count물으시고 Bone marrow로 넘어갔습니다. 150-400G/L
Bone marrow는 성인의 경우 Posterior iliac crest 안되면 anterior, 그것도 안되면 sternum, 그것도 안되면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rib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이들은 tibia에서도 가능. aspiration과 biopsy로 나누어 설명했습니다.
biopsy는 느리지만 모든 cell을 다 볼 수 있고 absolute quantity를 알려주므로 Aplastic anemia같은 걸 진단할 때 유리하다고 말했습니다. 또 immunohistochemistry를 할 수 있으며 예로는 ALL/AML discrimination할 때, MPO /sudan black/ NSE를 쓰는 걸 말했습니다. aspiration은 relative quantity를 알려주며 빠르고 flow cytometry나 FISH하러 보낼 수 있어서 좋다고 말했습니다. 다음 토픽갔습니다.
14. Chronic myeloid leukaemia
클리니컬한 상황을 가정하는 식으로 설명하겠다하고 시작했습니다.
middle age man arrives hospital with no symptom except for night sweat1. PE revealed LN swelling이라고 말하니 림프노드 확실하냐고 물으셔서2 재빨리 Splenomegaly로 바꿨습니다. 시험 날 잠을 많이 못 자면 이렇게 되어요.
이후 smear체크해봤더니 normal이거나 hypercellular할 수 있다. 혹시 몰라서 GAPA stain해보니까 low하네? 그럼 PV나 ET를 rule-out할 수 있다. lab체크하니 CBC, Hb다 정상이다. Marrow뽑아봤더니 myeloid blasts가 있었고 이걸 갖다가 FISH돌려보니 Ph+, t(9,22), bcr/abl1이 나오더라.
얘네는 3가지 phase로 구분되고 chronic이 85%로 가장 많으며 accelerated, blastic으로 이어진다. accelerated phase에서는 Anderson MD/WHO criteria로 진단할 수 있지만 너무 많아서 안 외웠다라고 말하니까 시큰둥하시네요. 역시 외울 필요 없었어! 개꿀.
tx
옛날에는 HSCT만이 유일한 cure이고 그마저도 prognosis가 나빴는데 TKI가 나왔다. TKI로 치료하면서 세 generation 약 렉슬에 있는 것 다 말했습니다. 1: imatinib(glivec), 2: nilotinib, dasatinib, bosutinib, 3:ponatinib이 있고 특히 ponatinib은 T315I mutation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고 말했습니다. 여기서 우린 MMR(major molecular response)3를 타겟으로 치료를 해야하며, Blastic phase로 넘어가면 AML protocol로 치료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prognosis는 오로지 TKI response에 달렸다고 말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받은 질문은 MMR에 도달한 환자에게 TKI를 계속 쓸거냐? 아니면 그만 둘거냐?였습니다.
이 부분은 렉처에서 설명하신 부분입니다. TKI를 그만둔 것과 TKI를 계속 쓴 두가지 통계를 비교해봤더니 후자가 조금 더 나았다.
공부는 8일+시험당일 날 아침 2시간 했고, 노트는 아무리봐도 똥자루같아보여서 위키피디아, 렉슬로 공부하고 Dx랑 Tx, 그리고 이외에 중요한 것 같은 내용들만 quizlet에다 모아놓고 이틀 전부터 머릿 속에 쑤셔 넣었습니다.
시험기간동안 쉬는 시간에 House MD 유튜브 클립보면서 공부했는데 Hematological disease가 꽤 많이 등장해서 정말 재밌게 공부했네요. 공부랑 연결되니까 틈틈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아요.
그럼 안녕
5.2. Anesthesiology
<Anesthesiology 시험>
시험관 : 헤드 (덩치 있고 키는 MJ보다 조금 작고 콧수염잇음 (턱엔 없음))
전체적으로 봤을 때 4,5점 줌! 리스펙 쩔고 유도 잘해주고, 어려운 질문이기 보단 physiology에 기초한 기초적 질문을 많이함. Physiological value도 묻는거 꾀 좋아함.
5명씩 한꺼번에 시험 봄.
테이블에 둘러 앉아 쌓여있는 B4종이들 중에서 하나씩 뽑으라고 함.
뽑으면 거기에 두 토픽이 있는데 (미니멀 문제같은거 안물어봤음!)
바로 A4용지에 본인 나름대로 요약해서 설명하는 구조임.
내가 걸린 토픽 :
1. Metabolic acidosis
2. Scoring system in ICU
1. 토픽에 'Metabolic acidosis'가 있는게 아니라, pH, pO2, pCO2, HCO3 레벨 주고 진단하는 방식임.
내가 걸린 문제는 Metabolic acidosis with respiratory compensation이었는데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물어봄.
-what is your diagnosis? metabolic acidosis
-is it compensated? yes, respiratory compensation
-do you know Horwald (of Thorwald) ratio? it's PaO2/FiO2
-so in this question, can you know this ratio? no, because the FiO2 value is not given.
-what's the treatment? causative treatment (이걸 듣길 원했음), giving fluid, ventilation
-what kind of causes do you know? it depends on anion gap (이거 듣고 막 좋아했음. 그리고 더 이상 안물어봄)
2. Scoring system in ICU
렉쳐 슬라이드에 나와 있는데로
disease specific scoring system (burn patient, ISSS, GCS, Child-pugh classification of liver cirrhosis, Ranson criteria for pancreatitis)
general prediction scoring system (APACHE-2, SAPS-2, TISS (ASA는 ICU에서 안쓰인다고 설명할 필요 없다고 함, 렉쳐 슬라이드에는 나와있었는데..)
이렇게 설명하면서 스코어를 몇점에서 몇점에서 주는지만 말하고 그에 따른 mortality rate만 언급했는데 충분하다고 함.
그리고 마지막으로 Doll's eye가 뭔지 물어봄. (매 학생마다 마지막엔 Brainstem death diagnostic technique을 물어봄!)
나 전에는 어떤 이스라엘사람으로 보이는 남자애가 시험 쳤는데 ARDS 토픽 걸렸는데 P/V curve 그려보라고 함.
그리고 다음과 같은 것들을 물어봄.
-how does too high PEEP value affect the lung? it can overinflate the lung, compressing the vasculature, leading to perfusion failure. This type of defect is called "dead space ventilation failure" (NOT shunt ventilation failure)
나머지는 기억이 잘 안나는데 그렇게 어려운 건 아니었음. 그리고 끝.
친구 말에 의하면 내 친구가 시험을 치를땐 한명이 페일을 했다고 함.
나름 설명을 잘 했고, Brainstem diagnosis에서, 그 중에서 Apnea test에서 PaCO2가 60mmHg보다 높아야한다는 것을 몰랐다고 페일을 줬따고 하는데.. 어쨌거나 페일을 했음.
근데 진짜 내가 시험쳤을 때도 그렇고, 내 친구가 시험쳤을때 다른 사람들도 다 그렇고, 4,5점 받고 아주 쉽게 끝났음^^ 너무 부담가질 필요없습니당.
anesthesiology! 남자쌤한테 봤어요brainstem 이랑 inhalational anesthesia였는데 brainstem 같은 경우는 reflex에 집중으로 물어봤어요. vestibulocular reflex에서는 caloric test이야기하고 doll's eye, gag,cough reflex, corneal,pupil reflex. 다른거는 apnea test 설명하고 명진오빠가 언급하신 것처럼 brain death 는 pco2> 60mmhg,가 중요한것 같아요!
저랑 같이 본 친구 포픽은 topic 1에서 anesthesia risk분류 할수 있는 system 뭐냐? - SAS (topic2내용) 그리고 sas가 1-6까지 분류되어있는데 각각 뭔지 설명해라.등등
질문 하기는 하지만 부담 안가지셔도 될것 같아요! 화이팅이요!!
anesthesio 시험!
헤드한테 봤구 어구스타 서저리 비서있는곳으로가면됩니다~
epsilon 노트 생각보다 괜찮고 렉쳐보고 만든거같아요! 혜림이누나가 옆에 스티커노트로 편집해놓은것들도 보면 더좋습니다.
헤드 토픽들은 토픽리스트랑 100프로 똑같지 않고 2개 질문들로 되어있는데 그냥 토픽대로 공부해도 좋습니다.
제 토픽은 CPAP 와Bipap 의 차이점을 설명하라고 했고 이건 Balasz Hollas 라고 쓰여있는 16쪽 노트에 나와있었습니다. 저 노트 꼭필수로 보고가세요 설명도 잘되어있고 헤드토픽들이 몇개있는거같아요.
그다음토픽은 그냥 명진이형처럼 ph po2 pco2 hco3- BE 값들이 주어지고 diagnosis를 하면 그 diagnosis에 대해서 질문합니다. 제 값들중에 ph가 7.35로 normal 이라서 조금 헷갈리긴 했지만 metabolic acidosis with respiratory compensation이 맞았습니다. Ballasz hollas 노트에 표가있는데 그 표 공부해가면 blood gas문제들은 쉽게 풀수있을거같아요! 헤드가 질문을 많이하는데 저 두노트 공부했으면 전부대답할수있는정도였습니다!
인터널도 봤었는데 제 쌤은 좀 젋은 낯익은 남자였는데 피지컬은 환자한명 주고 알아서 물어보고 다시 돌아와서 오랄시험볼때 맨처음에 무슨환자다 말하고 피지컬관련된 질문몇개 했습니다. 제 환자가 ascites가 있었는데 어떻게 피지컬exam 하냐 언제 ascites가 생기냐 간단하게 물어봤습니다. 오랄토픽들은 neutropenia 걸렸는데 거기서 antibiotics,antifungal,opportunistic infection 등등 마이크로/팜 질문들을 몇개했습니다. 다른 토픽은 antidote of antithombotics 이였는데 솔라노트로 커버가능했습니다. 전반적으로 나이스 했어요!
포렌직도 명진이형이랑 같은쌤한테 한번더봤는데 헤드보단 이쌤이 훨씬좋아요. 제 앞에얘는 엄청 질문 답 못했는데 마지막토픽 조금 잘하니깐 그냥 5점 주더라구요..ㅋㅋ 자신있는 토픽을 뒤에하는것도 나쁘지않을거같아요. 근데 헤드도 나쁜건 아니에요 점수잘줘요. 노트보고 공부하면 조금 부실한 토픽들은 구글링하는게 좋을거같아요! 렉쳐도 찾아봤는데 토픽들이 다있는건 아니더라구요. 모두 남은 파이널 화이팅!
2019.06.03 아네스
시험장소는 서저리 디팟있는곳
15. Dgx/txt of acid base disturbance
26. ALS
헤드한테 시험봤어요. 다 같이 들어가서 토픽뽑고 준비하고 시험봅니다.
m&r acidosis alkalosis 다 기본적인것 (cause, mechanism)들 설명하고 각각 treatment 얘기했어요. m. alkalosis를 제일 provoking하는 drug는? furosemid (loop diuretic) 이것들을 dignose 하는것은? arterial blood gas analysis. Gas analysis에서 먼저 봐야되는것은? pH -> pCo2 -> bicarbonate 이거 잘 모르니깐 렉쳐안왔냐고 뭐라하더라구요..
26. ALS도 기본적인것들 설명하고 epinephrine dosage랑 injection site, amiodarone dosage, when to apply, lidocaine 다 설명햇어요. 질문. atropine은 언제쓰이나? never Defibrillator 사용방법 물어보고 보통 몇 J을 사용하냐? 360J.
마지막으로 apnea test 물어봤는데 각 oxygen이랑 pCo2 level 알아야돼요 꼭!! 후기에도 나와있듯이 되게 중요하게 생각하는거같아요. 저는 다 잘 말했는데 왜 pO2를 체크안하고 pCo2를 monitor하냐는 질문에 답을 못했네요… 답은 Co2가 aspiration를 유발한다였나? 암튼 그런거였어요.
제가 첫번째라 다른 애들 시험보는건 못봤는데 그래도 질문들은 많이 하시는 편인데 떨어트릴려고 물어보는것같진않고 렉쳐를 왔는지 안왔는지 볼려고 하는거같아요.. 기본적인 dosage랑 parameters들 꼭! 외워가세요. 다들 파이널 화이팅~
2020 Anesthesiology후기
교수님: 헤드
토픽 13.Clinical nutrition
Definition 얘기하고
Indication 6개 수치포함해서 얘기하고
방법 Enteral 이랑 parenteral 으로 나뉜다
Enteral 은 oral, gastric, intestinal로 나뉜다
Intestinal 은 duodenal 이랑 jejunal 로 나뉜다
Parenteral 은 peripheral 이랑 total 로 나뉜다
(렉쳐에서는 total, 노트에서는 central 이라고하는데 일부로 렉슬에 나오는 단어들을 더 썼어요 //
이 classification은 lec에 나온 방식이고 헤드가 렉쳐를 들었다는걸 좋아한다고 해서 그 티를 팍팍 내려고했어요)
각 방법들의 insertion method, indications, pros, cons 얘기했어요.
앞에 애 치는거 들어보니까 말 짜르고 질문을 많이 하더라고요 그래서 말 안짤릴라고 속사포로 얘기했어요ㅎ
total parenteral nutrition은 osmolality 가 높은 걸 줄때 좋다고 얘기하니까 고개 끄덕이면서 좋아했어요.
질문: jejunal feeding indication 중 제일 중요한것은?
답: pyloric stenosis, hypertrophy 이런거 얘기했는데 아니라고 inflammation 이다고 힌트를 줬는데 못맞췄어요
—> 답은 chronic pancreatitis
질문: 왜 indicated 되었을까
답: Dudodenum에 계속 음식이 들어왔다는 시그널이 오면 pancreas 가 계속 일할테니까? Guess 했는데 맞아서 다음 토픽
토픽 7. Practical demonstration of oxygen therapy and mechanical ventilation
Oxygen therapy - goal, indication (hypoxia), hypoxia 수치 definition, hypoxia s&s, 기구 classification 얘기했는데
질문: What do you change in mechanical ventilator if the patient have low Po2 but everything else is normal
답: Increase TV - yes, Increase RR - no, Decrease RR -no, Increase the time of inspiration - maybe
—> 정답은 PEEP 올려라
Mechanical ventilation에 대해서 설명 시작도 안했는데 점수 주고 끝났어요
후기: 질문이 꽤 clinical 하고 앞에 애들어보니까 drug같은거 얘기하면 그 drug는 언제 쓰이는게 좋냐/ 왜 이럴땐 이 drug 안쓰고 저 drug를 쓰냐 뭐 이런거 많이 물어보더라고요.
근데 엄청 고난이도는 아니고 충분히 추리할 수 있는 정도?
그리고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답을 잘 못해도 앞에서 프젠할때 렉쳐를 본 티를 팍픽 내면 좀 베네피트가 있는거같아요.
노트는.. 별로지만 별 수 있나 라는 생각으로 썼고 렉쳐랑 프랙을 베이스로 쓰는게 좋은거같아요 . 물론 시간이 없으면 노트만 2-3일 보고 가도 떨어지지는 않을것같아요.
5.3. Forensic Medicine
포렌직… 비서오면 토픽이랑 그림받고 약 한시간반동안 방안에서 아무도없이 기다렸습니다 애들이랑 떠들면서..ㅋㅋㅋ 헤드걸렸는데 나이스하고 점수잘주는데 저는 노트에없는토픽을뽑았어요 ㅠ b그룹 1번이였는데 노트에선 type of injuries 였나 그랬는데 거기토픽에선 vital injury 이였어요. 그냥똑같이말하면 되는지알았는데 그걸원하는게아니더라구요… inflammation granulation tissue scar 이런걸원했어요… 그리고 c그룹 10번뽑았는데 suspected mother 라는 부분에서 출산후 엄마의 변화들을 묻더라구요 노트에는없는…
다른애들들어보니깐 저빼곤 다노트로 충분했어요 패스는 주긴했는데 ㅎㅎ.. 더럽게 운없는날 근데 비서없는 한시간반동안 뭘해도신경안쓰더라구요 기다리느라 지쳐서 힘들었어요. 8시에갔는데 나와보니 11시반.. 너무많이공부하고보기엔 아까운과목같아요 ㅋㅋㅋ 화이팅!
[포렌식]
비서가 자리비운 사이에 서로 물어보고 노트 보고 장난아니었습니다.
헤드한티 쳤는데 A4 B11 C11 그림:감전
감전은 그냥 깊게 들어가고 부분부분있어서 Dc인것 같다
밑에꺼는 피부색깔에 대헤서 뭐라뭐라 하던데 혼자 말하고 넘어감
abc 추가 질문은 다 유도 질문 해줘서 대답은 다 했습니다
a 시체 날짜 계산 어떻게 함? 애벌래가 2주후에 성충되니까 유추가능 이미 성충이 나오면 모름 그냥 오래됨
어디에 알깔까? 눈 입 장 / 귀는 안깜 (secretion)
b 뒤로 젖혀질때 생기는 injury 특별한 이름 (요건 대답 못함)
애가 뒷자석 가운데 서서 있으면? 총알처럼 튕겨나감
앞 유리가 깨지면 어떤 injury? insicional
c
첫번째 질문은? 씻었니 옷 갈아잎었니? (노트에선 뒤에 나오죠)
검사 할때 최소 몇명이 있어야 할까? 3 피해자 닥터 추가1명
어떤 변화가 생길까? 임신 싸이킥증상 STD
semen이 발견 되는 곳? 버자이나 / asshole :D 장난이고 gut /입 가슴 허벅지 등짝(엉덩이 바로 위)
c는 질문 진짜 많았습니다 . 기억나는 것만 적었네요
분위기 매우 나이스. 특히 마지막에 적은 저 질문 할때는 교슈랑 옆에 조교랑 웃고 장난 아니었습니다.
Forensic Medicine
9시까지가면 총 10명의 외국인과 10명정도 헝가리인들이있었는데 헝가리인들 10명하고 외국인 5명은 바깥쪽 세미나룸에서
모여서 시험을 쳤습니다. 감독관도 앞에 비서랑 선생 한명있다가 비서가 나오고 선생한명 혼자서 감시하는데 이말은 실내에서는
치팅을 하려면 할수있는 환경이였습니다. 근데 저는 그 5명에 못들어가서 안쪽으로 들어가서 시험을 쳤습니다. 일반적인 후기로는
헤드한테 시험을 다 친다고하는데 저는 헤드가 아니라 백발에 안경쓰고 뚱뚱한 일반 선생님한테 시험을 쳤습니다.
토픽은 A.4 Damage to the corpse by living creature, B. Wound Caused by firearm C. Degeneration alteration of myocaridum.
그림은 Incision 있는 사진이였는데 구글드라이브에 없는 사진이였습니다.
사진묘사를 하였습니다. 꼭지점이 날카롭고 Depth가 깊지 않아서 이건 Incision이라고 유추했으며, 사진상으로 Structure를 물어봤는데
Artery같아서 Artery라고 하였더니 사진에서는 더이상 물어보지 않았습니다.
A.노트에 나왔있는데로 싹다 설명하였습니다.
1.Maggot 이 알을 낳는 장소들을 싹다 물어봤습니다.
-Mucous 있는 것들 (코,눈,목)에 알을 깐다고하였습니다. 그러더니 왜 귀에는 안하냐고 했는데 데봇위키 후기에서 본바로
Secretion이 일어나기에 알을 안깐다고 했더니 맞다고 했습니다.
2.Maggot 의 상태로 시체가 얼마나 됐는지 어떻게 유추할수있냐?
-Maggot은 하루에 1mm씩 자라난다고합니다. 그래서 나중에 Maggot길이로 대충 시간을 알수있다고합니다.(노트에 없는내용)
3.Maggot 이 Flies 되기 전에 형태를 뭐라고하냐? Barbar(?)4이런 씩이였는데 물론 노트에 없는 내용입니다.
나머지는 노트에 있는 내용 그대로 말하니까 더이상 질문안했습니다. 개미,사슴,새,물고기 다 얘기를 해버렸습니다.
B.역시 노트에 있는 내용들 그대로 싹다 말하였습니다.
1.총을 맞으면 주변에 남는 것들 싹다 말하라고하였습니다.
-Smoke, 총알파편, 화상자국, 그리고 하나를 계속 물어봤습니다. 한개가 부족하다고. 노트에는 없어서 계속 생각하다가 힌트를
주셨습니다. 총을 닦을때 뭐로 닦니라고 해서 Oil이라고 했더니 Oil도 묻는다고 합니다.
2.Intermediate range , Distant range의 흉터 차이를 설명하라고했습니다. 노트에 있는대로 Reddish abrasion이랑 Burning이 Intermediate 에있고
Distant 에는 Pallet seen around central wound , Abrasion ring있다고 했더니 넘어갔습니다.
나머지는 노트에 있는 그대로 다 말하였더니 더이상 질문안했습니다. 흉터모양을 Star shape는 contact 뭐 이런식으로 다 말하고
Gunshot woundm, Bullet wound, Ballistic 등등 다설명하였고, 내부장기중 치명적인것들 또한 노트에 있는대로 말하였습니다.
C.Myocarditis , Cardiomyopathy를 말하고 Cardiomyopathy를 카테고라이즈하고 종류중 하나인 Arrythmogenic right ventricle dysplasia에 대해서
설명하였더니 이부분에서는 질문을 안하고 점수주고 끝났습니다.
다른사람들 질문들 들은것들 몇개 적어볼게요
1.담배를 피면 Co에 얼마나 노출이되나.
담배를 핀다고 머리가 아프지 않으니 대충 10프로 미만이며 5프로 정도 되지 않겠나 했더니 그게 답이였습니다.
2.Co에 많이 노출되면 Blood 색깔들은 어떻게 되냐
3.Co에 노출된 환자에게 제일 먼저 해야할것은? 주변창문등등 환기를 시켜주고 Ventilation을 시켜준다.
4.Special Autopsy에대해 정말 세세하게 물어봤는데 친구가 답을 못해서 선생이 꽤 답답해했습니다.
5.헝가리 Voltage는 얼마인가, Current 또한 얼마이며 , Frequency는 얼마인가? 220v, 10A~18? Frequency는 50이였던거같은데 기억이 안납니다.
6.목졸라 죽는거랑 교살형의 차이는 무엇이냐.
7.시체 신분확인하는데 이 시체가 그 사람시체인지 어떻게 알아갈수있나
기억나는 질문들은 이것들이였고 제 앞에 두명만 시험보는데 거즘 45분정도 친거같습니다. 선생도 지쳤는지 마지막인 저 차례에서는 대충대충 했던거같습니다.
노트는 Death Note 55페이지 짜리 봤으며 사진 레콕은 구글드라이브에 있는게 전부이니 그거보면되고 안본거 뽑게되거든 묘사하면서 맞춰가면 될거같습니다.
2019.06.27 Forensic Medicine II
Dr. Gergely Peter.
Picture : 노트에서 34페이지
세번째로 쳤는데 이전 사람들 하는 거 보니까 답만 말하면 설명하라 그래서 그냥 바로 답 안 말하고 Description부터 시작했습니다.
Case description: 뭔가 이 부분은 어렸을 때 CSI보면서 따라해보고 싶었기도 하고 말해서 나쁠 것도 없을 듯해서 말했습니다. 두 개의 Injury 모두 blood engorged하므로 postmortem injury가 아니다. 비록 머리, 목과 어깨 일부분 밖에 보이진 않지만 저항의 흔적이 없고 뒤통수에 injury가 있는 것으로 보아 모르는 상태에서 공격받은 듯하다.
Injury description: 위쪽 상처가 없다고 가정했다면 아래쪽 Injury의 경우 Indentation mark가 있는 것으로 볼 수도 있기 때문에 톱같은 것에 의한 Incisive injury일 수 있지만 위쪽 상처가 있기 때문에 아니다. 이렇게 말하니까 가능은 한데 Indentation 마크는 조금 더 Prominent하다고 하셨습니다. Abrasion mark가 없으므로 무기가 뭐든 간에 손잡이에 닿을 정도로 깊게 찍히지 않았을 것이지만 머리카락에 의해서 보호가 받을 수 있기도 하기 때문에 가능성을 제외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위쪽 상처는 edge가 sharp해서 Hacking injury라고 말했습니다. 그렇습니다. 노트에는 Stab wound라고 되어있긴 한데 그렇다고 하시네요. 노트는 틀렸습니다. 어쨌든 그건 그렇고 아래쪽 상처는 connective tissue bridge가 있기 때문에 Laceration by blunt object라고 하니까 무기가 뭐가 될 수 있겠냐고 물으셨습니다. 첨에는 골프채를 생각했는데 그닥 골프채는 날카로운 부분이 없으므로 도끼로 찍고 blunt한 부분이 laceration까지 시켰다고 말하니까 그렇다고 하시고 끝났습니다.
뒤집혀 있는 토픽종이들 중에서 맨 아래 것만 뽑아 봤는데 3토픽 중 2토픽이 마지막 토픽, 마지막에서 2번째 토픽이네요. 나머지 하나도 뒤쪽 토픽이고.
A. Death by Drowning and suffocation.
책에 3 페이즈로 나뉘어져 있다고 말하고 각각 페이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 지 간략히 말했습니다. 각 페이즈 이름이 기억 안 나서 그냥 내맘대로 아무말 넣었는데 신경 안 쓰네요.
1. apnea- hypoxia때문에 일어나고 HR 감소, BP skyrocket to compensate.
2. hyperventilation- brainstem에 있는 chemoreceptor가 pCO2 올라간 거 보고 tell heart to run more, tell resp. muscles to work more해서 hyperventilation, tachycardia
3. arrest- pCO2가 60mmHg넘어서 코드 빠진다.
질문하십니다. 이 사람들 drowning으로 죽었는지 어떻게 판별할 거냐?
심장의 두 ventricle osmolarity를 비교하면 된다고 말하고 설명했습니다. drowning당할 때 살아있었다면 물 많이 먹을 텐데 그게 lung으로 가고 pulmonary circulation을 통해 left ventricle로 가서 dilution시키고 그로 인해 농도 차가 난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경우는 죽고 난 후 오랜 시간 후에 물 속으로 옮겨진 경우에도 가능하지만 지상에서 죽은 직후 옮겨졌다면 bronchospasm과 foamy secretion때문에 dry drowning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 경우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물에 빠진 직후 사망의 경우에도 dry drowning이므로 마찬가지입니다. 이거 말하고 다음 토픽 갔습니다.
B. Wounds caused by firearms.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토픽이라고 말하고 시작했습니다. 총알 사진(대충 이렇게) 그려서 각자 위치 명칭 말했습니다. propellent에는 뭐가 들어가냐 물으셔서 Gun powder가 들어간다고 말했습니다. projectile은 우리가 흔히 bullet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영화에서는 총알이 cartridge 통째로 날아가지만 실제로는 이것만 날아간다고 말했습니다. 보통 lead로 만들지만 다른 금속으로 만드는 경우도 있는데, 예를 들면 vampire를 죽이고 싶은 경우 금으로 만들기도 한다고 말했더니 금이 아니라 은이라고 고쳐주셨습니다. 당연하지요.
라이플 대략적으로 그려서 barrel하고 trigger, muzzle위치들 말하니까 rifling이 뭔지 물으십니다. rifling은 barrel안에 spiral groove가 있어서 spinning을 더 시키게 하여 speed를 올린다하니까 speed는 올라가지 않는다고 하십니다. destructive power가 증가하냐 물으니까 그것도 아니랩니다. 딱 떠오른 게 있어서 accuracy라고 말하니까 그게 맞답니다. 생각해보면 무회전 프리킥이나 너클볼이 위력적이라고 여겨지는 이유는 궤도가 예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일정치 않기 때문이므로 이해가 가네요.
Automatic이랑 semiautomatic이 어떻게 다른지 물어보십니다.
trigger누르고 있으면 계속 나가는 게 오토마틱, 쏠 때마다 트리거 눌러야 되는 게 세미 오토마틱.
원리를 물으셔서 데꿀멍
automatic은 총알이 발사되면 기압차로 인해서 다음 탄창이 바로 들어와주는 반면에 semiautomatic은 스프링을 쓴다고 합니다. 이걸 내가 어케 아나.
그 다음에는 gunshot injury에서 hole(means loss of tissue), surrounding abrasion and contamination zone이 있고 contamination zone에는gun powder나 oil이 묻을 수 있다고 말하니까 다른 건 말도 안 했는데 그냥 다음 토픽 넘어갔습니다.
C. Hallucinogen(LSD) abuse
고백할 게 있다고 말하고 시작했습니다. LSD full name 까먹었다고 말하니까 lysergic acid 라고 말해주십니다. lysergic acid diethylamide인데요
하튼 얘네는 얘네 이름이 사실상 얘네 effect를 설명하는 꼴이라 Quad erat demonstratum이라 말하고 hallucination, delusion, psychosis, paranoid schizophreniform symptom을 일으킨다고 말했습니다. 문제는 얘네가 이쪽만 맛을 가게 하는 게 아니라 Parasympathetic 쪽도 다 막아버리기 때문에 tachycardia, mydriasis, salivation(그래서 high한 애들보면 보통 거품 물고 있는다고 말했습니다.), tachypnea, insomnia를 일으키고 cognitive change도 일으켜서 executive function망치고, coordination도 impair시킨다고 말했습니다.
질문: 얘네 매우 high해서 너한테 왔음. 어케 할거임?
일반적으로 생각해서 BDZ나 haloperidol로 진정시킨다고 하니까 얘네 보통 위험한 애들은 아니라고 하십니다. 묶어놓는다고 말하니까 그것도 예절이 아니라고 합니다. Let them be라고 말하니까 걸려들었구나 요녀석하는 표정지으면서 "그래 바로 그거야. 그게 니가 절대하면 안되는거야. 애들 집 보내는거."라고 말하시길래, I said let them be, not let them go.라고 씨알도 안 먹힐 변명 대니까… 통하네요. 왜 집에 보내면 안되냐고 물으십니다. John Nash Beautiful mind본 게 떠올라서 얘네 hallucination이 시키는 대로 행동할 수도 있다라고 하니까 그게 답이네요.
그렇게 끝났습니다.
공부는 책으로 했고 화, 수 + 목요일 아침 2시간 했습니다. 동화책 읽는 느낌으로 하면 재밌어요.
그럼 이만.
2020 Forensic medicine 후기
교수님: 키 크고 마르고 안경 안쓰고 반삭하신 남자분
A15. Death by garrotting
노트에 나온데로 정의// 방법// hanging 이랑 큰 차이점 :
Horizontal, below thyroid, severe congestion (amussat sign 없음) 얘기하고 노트에 나와있는 그대로 postmortem findings 얘기했는데
한가지 더 있다해서 해매다가 했던 예시들 또 얘기하다가 thyroid cartilage and hyoid fracture 이라했더니 맞다고 하셔서 음 뭐지 라는 표정을 지으니까 아 아까 말했어? 그래서 네 했더니 넘어갔어요
B.5 Types of skull fracture
이때는 이엔티에서 봤던거처럼 자세한 설명보다는 듣고 싶은 키워드가 있었어요
Roof/ cranium - Linear, spiderweb, impression, hole 각각 설명
Face - craniofacial, maxillary, zygomaticus …. Le fort 1,2,3
Base - anterior cranial fossa 어떨때 생기고 증상들 middle cranial fossa 언제 생기고 증상들 … blood aspiration // motorcycle injury ring fracture
Secondary complications - bleeding 특히 epidural in impression frx // infx
이때도 한 두번은 이미 말했던거 질문하시더니 아까 얘기했던 또 말하니까 아 이미 말함? 해서 네 해서 넘어갔어요
C13. Carbon monoxide poisoning
정의 // 언제 // 어떻게 // 어떤 증상 일으키는지 얘기하고
질문은 PM findings: Bright cherry red blood 때문에 livor mortis / skin, mm, conjunctiva, fingernail bed bright cherry red
Picture - Gunshot wound
Close or distant shot?? 답은 contact b/c muzzle impression can be seen
후기: 이분은 노트 이상의 지식을 요구하지않고 듣고싶어하는 특정 키워드가있어서 그 단어를 들으면 딱히 설명을 안들어도 바로 만족하고 넘어갑니다.
5.4. Otolaryngology
ENT저번주에 Judit이라는 여자교수님한테 봤어요! 토픽은 ear에서 하나 nose/larynx에서 하나 뽑아서 총 두개! 저는 fracture of temporal bone 이랑 trauma and fracture of paranasal sinus 뽑음…traumatology 시험 보는 줄…디팟에서 publish한 책이 길지도 않고 읽기 편해서 그 책 먼저 읽고 쏠라 봤어요. 오히려 내용은 쏠라가 더 많긴 한데, fracture of paranasal sinus는 쏠라가 더 도움 되었어요! 그리고 저 보는 날 총 8명 시험 봤는데 시험관은 총 3분이셨구요. 위치는 지하 아니고 일층 secretory office 앞으로 가면 돼요.
저 봤던 여자쌤 점수는 5/4/3(3점은 ear에서 organ of Corti 가 inner ear중 어디에 있는지 정확히 설명 못하는 학생…) 토픽 개수가 많긴 하지만 부담 갖지 말고 공부하셔도 될 것 같아요!
ENT건물로 1층에 도서관 앞으로 가야한다. 1층올라가서 맨왼쪽으로가면 도서관이 나온다. 계단기준.
8시쯤 도착해서 기다리다보면 8시반에 미니멀을 다 같이 들어가서 치게한다. 미니멀은 1개 주관식 9개 객관식으로 나온다.
근데 이게 공부할 필요가 없는게 그냥 서로서로 컨닝이 가능하다. 다 치고나서 비서에게 주면 채점을하고 각자 학생마다
선생을 배정해준다. 외국인 기준 4명이있다면 2명은 헤드한테 시험치러갔고 나랑 한명 다른외국인은 유딧(?) 이 들어갔던
금발머리 여자 선생님에게 배정되었다. 선생마다 시작하는 시간이 다른듯했다. 비서가 헤드는 10시에 시험을 시작할터이니 여기서 기다리고
나랑 한 외국인은 9시에 시작할터이니 지하 수업하는 장소로 가라고 하였다. 정확히 9시 30분쯤에 시험관이 지하로 내려와서
우리가 맨날 수업하는 장소에서 시험을 시작하였다.
Ear 14.Chronic Suppurative Otitis media, type of middle ear cavity.
Chronic 은 솔라에 나오는대로 Tubotympanic, Cholesteatomatous 두개로 나눠서 설명을 하였다.
1. Cholesteatomatous 가 생겨나는 Theory. Implantation, Migration, Metaplasia, Invagination*
2. Suppurative Otitis media와 Cholesteatomatous 의 차이점 ? Pus formation, Foul Smelling.
3.Tubotympanic 의 Treatment ? 적게말해서 그런가 있는거 다물어보았다. Mastoiectomy만 언급햇는데 Myringo, Ossiculo, Antibiotics.
4.위에 질문을 이어서 tympanic plasty 타입을 말하시오. 솔라노트 17번에 있는 타입들 다 말하면 되는거같앗다.
5.Middle ear sugery 종류 말하시오. 솔라노트 16번에 있는 수술법들 다 얘기하면된다. 다른 자잘한것들은 특징들만 얘기하면 되는데
Radical Mastoidectomy의 경우 수술 과정을 세세하게 물어보았다.
Nose & Larynx 17.Salivary Gland Calculi.
1.솔라노트에 있는 그대로 설명했더니 Most common 한 Gland는? Submandibular Gland (Wharton's Duct)
2.Diagnosis를 X- Ray 하나만 얘기했더니 다른것들은 없는가? Ultrasound 랑 CT를 얘기했더니 넘어갔습니다.
3.Treatment - Heat , Massage , Antibiotics를 얘기했더니 다른건 없는가 그래서 Silodectomy라고 했고 다른 또 Treatment를
물어보아서 가만히 있더니, Direct하게 Incision하여서 Opening 쪽으로 Stone을 빼는 게 있다고하는데..
4.추가질문 - Hearing Aids랑 Choclear Implantation 의 Main difference는? 그냥 솔라에 있는내용 베이스로 설명하면 됩니다.
어떻게 자극을 줘서 하는지 등등.
Minimal같은거는 다른 학생들과 공조가되니 너무 스트레스 받지말고 토픽준비에 전념하시고 솔라를 봤었는데 토픽이 다릅니다.
오늘 저같은경우 Ear 14번토픽은 기존 솔라에있는 토픽 15,16 합쳐져서 나왓습니다.
ENT 오랄 후기
Dr. Judit Szilvassy
8시 정시에 가도 1시간 기다리게 할 거면 그냥 9시에 오라고 하지 왜 이리 일찍 오게 만드나 싶을 참에 미니멀 보러 갔습니다. 미니멀은 10문제. 미니멀 치고 나니까 시험관 배분하는데 저는 12시에 다시 오라네요. 수술 있다고. 아오 빡쳐. 아침 회의하러 PPAP추면서 들어가는거 내가 봤는데! 내 두 눈과 귀와 나의 모든 Sensory organ이 기억하는데!
하튼 12시에 도착했지만 더 늦어서 12시 34분에 시작했습니다.
첫 토픽은 E.7 - TESTS OF THE AUDITORY APPARATUS
Tuning fork test부터 시작하라 해서 웨버부터 하는데 하는 방법 설명하니까 됐고 왜 하는지 물어보십니다. 맛이 간 쪽을 찾으려고. 그러니까 무슨 Hearing loss가 있는지 물어보십니다. 세 가지가 있다고 말하고 Conductive, Sensorineural, Central/retrocochlear이라 말하니까 아니라고 하십니다. 세번째는 Mixed hearing loss라고 말하시면서 이것의 예를 들어보아라 하시길래, Late phase of Otosclerosis와 Syphillis를 댔습니다. Chronic suppurative otitis media를 마저 추가해주십니다.
subjective hearing test를 대라고 하셔서 머릿속에서 정리하는 중에 그냥 던져 주십니다. Pure tone audiometry 어떻게 하는 지 말해봐라. 말했습니다. 삿대질 1스택. 그다음꺼 얘기하라고 했는데 여기서 뇌절와서 impedence audiometry의 Tympanometry를 말해버리자마자 이게 subjective냐고 되물으십니다. 당근빠따 아니니까 그러시겠지요, 아니라고 합니다. 그리고 다른 objective hearing test를 말해보라고 하셔서 stapedius reflex와 Acoustic brainstem responses, Otoacoustic emission을 말했습니다. 그러니까 Otoacoustic emission을 왜하냐고 물으십니다. Cochlear function check라고 말하자마자 삿대질 2스택 적립. 담 토픽으로 넘어갑니다.
L.16 - VINCENT ANGINA, ANGINA AGRANULOCYTOTICA, HERPANGINA, INFECTIOUS MONONUCLEOSIS
우스키랑 같은 선생 같은 토픽 뽑아서 개꿀…?은 아니고 그냥 infectology에서 빡세게 갈굼당한 적 있는 토픽이라 술술 꾀고 있어서 참 반가운 토픽이었습니다. 졸트 레이거 형님 ㄳㄳ
vincent angina 부터 시작했읍니다. 프랑스인인 거 같아서 Vincent을 뱅상이라고 읽으니까 프랑스어로 말거십니다. 아직 못 알아들으므로 데꿀멍 하고 있으니까 얘의 characteristics가 뭐냐 물으십니다. Gram negative bacilius때문에 생긴다고 하니까 또다시 삿대질을 시전해주십니다. 3스택. 어째선지 herpangina로 바로 넘어가서 왜때문이냐고 물으십니다. 물론 coxsackie이지요. 특색을 말하라고 해서 soft palate에 특색적인 papulovesicular eruption이 나타난다고 하니까 4스택.
infectious mononucleosis는 그냥 원인, 치료만 물으시고 이외에 제가 말하는 건 그냥 듣고만 계십니다.
마지막 질문을 던지겠다고 예고한 후 1분 동안이나 고심하시더니 tracheostomy와 conicotomy의 위치가 어디냐고 물어보십니다.
이거 모르는 흑우없제?
끝났습니다.
공부는 귀 토픽 문노트, 나머지 솔라 봤는데 틀린거/쓸데없는거 개많아서 먀우 빡쳤습니다.
기간은 3주 반이나 했지만 실제 공부한 기간은 2주 될라나요.
마지막 학기 잘들 시험 치시길 바라며
그럼 20000
ENT head professor
Topic E13. acute otitis media
1.what is border of inner ear? (no tympanic membrane!! there are three cavities) 이 질문은 이토픽을 이야할때 하신 질문이 아니라, 앞에서 먼저 시험치고 있는 헝가리학생에게 하신질문인데 그 학생이 대답을 못하니까 방안에 있는 모든 학생에게 질문하셨습니다. 그런데 전부 답을 몰랐고, 답을 알려주시지 않았습니다
2.which bacteria can cause acute otitis media?
st. aureus, st.pneumonia, Moraxella catarrhalis (3 bacteria!!)
3.which types are present in acute otitis media?
suppurative and serous (middle ear with effusion)
4.what is first treatment of acute otitis media? paracentesis (no antibiotics!!)
Topic N13. anatomy and physiology of esophagus and trachea
노트에 있는데로 말했고, lymph system, blood supply는 이야기 안했습니다. 그런데 추가 질문안하시고 그냥 듣고 바로 점수주셨습니다
5.5. Infectology
저 인펙토 쳤어요!
위치가 뎁 캠퍼스 안에 pediatric infectious department
(그룹6 dr.reiger 이랑 프랙했던 장소여서, 그 분이 examiner 로 오실
줄 알았는데,
젠틀하게 생기신 남자 쌤이 examiner이셨어요)
일단 토픽 두개 뽑았고, 하고 싶은 토픽 있는지 토픽은 맘에 드는지 물어봤어요!🙂
시작 전에 리튼은 어땠는지 왜 점수 reject했는지 물어보셨어요!
저는 렉슬(아주 유용해요)+마이크로 공부 했던 자료 사용해서 공부했어요
저는 zoonosis랑staphy infection 토픽 뽑았어요.
일단 zoonosis:
렉슬에
나와있는 classification, term definition 예시 들어가면서 설명했어요(만족해하시는 표정…)
받은 문제:
1.leptospirosis에 관해 자세히 설명
-치료법:페니실린
-헝가리에서 일어난 사례? 소고기 먹고!!!
2.가장 흔한 food poisoning?
Campylobacer!
동물은?
치킨!
두번째 토픽-staphy infection
Basic부터 gram+…
Virulence factor…
Treatment…
Types if disease…
Normal flora…
MRSA에 관해서도 설명!
받은 질문:
Staph aureus어디에 가장 많지?
Skin! Whole body!
다른학생 질문:
1.most common MUlti resistant bacteria nowadays?
MAIE(multi R acnetobactwr baumanii)
2.when do we use fecal tranplantation in case d c difficle infection?
After 2nd relapsed C difficile infection
3. What is ESKAPE?(1st lecture slides)
4. Can u prevent c difficile?
No!(but he wanted to explain they are developing some vaccination)
화이팅~~~🙂
5.6. Ophthalmology
옵딸 토픽 17. post.Uveitis & chemical injury of the eye
1. Post. Uveitis
내가 설명한거: Choroiditis랑 같은말 cause Toxoplasma, CMV/ main symptom: blurred vision, pain, excessive tear, retinal dettachment-> perminant vision loss. Tx: Corticosteroid, Ivermectin.
질문: 급 마이크로.. toxoplasma 어디서 나오냐 CMV는 어떤 상태일때 감염쓰? 감염 말고 다른 루트 Trauma, autoimmune HLA-27, wegner vasculitis. Corticosteroid 투여 방법 Injection도 있다 이말이야 Conjunctiva라든가
2.Chemical injury
Alkaline- cooked fish eye, 왜 alkaline이 severe한지? 더 deep하게 affect. tx는 빨리 물로 닦아내야함
쉬운 이유가 깊게 안해도 됨.
Dx
Tx
봉투에 사진 5개. 이름만
토픽-ab함께
HSV keratits의 모양-denritic shape
Dx culture,geimsa, fluro stain
retinal detachment types
vitrectomy 방향, 방법
3일, 적당은 5일정도
5.7. Internal Medicine(Gastroenterology & Metabolism)
파락
기억나는 질문 다
Patient arrive 개뿔 시바 bloody stool, bowl habit change. 답 colorectal cancer 정확히 말하자면 colon cancer. R인지 L인지 맞춰봐라.L.Left colon cancer다른 symptom 그리고 treatment. risk factor는 무엇이냐. 그냥 6학년 솔라 노트에 있는거 말했더니 넘어감 EZ
Esophageal cancer 질문이 dysphagia, vomit. 갓 알리께선 알아서 다 말함 파락이 질문 거의 안했는데 뭐 말했나면.. risk factor, cancer 종류 squamous랑 뭐시기.. 기억이 안난다(adenoma?) 그리고 GERD 줄줄말하고 metaplasia 바렛 왜 일어나는지 LES. 근데 이것도 노트보면 커버 될듯
DB 1&2 1은 직접적으로 young weight loss
2는 wound healing이 늦나? 아님 인펙션 자주 되는거였음 그래서 여기둘은 많이 물어보심 메티볼릭 다이스키하는듯. micro macro pathy 종류와 무엇이있는지 씨부레하라했고 DKA도 말하라함. 참고로 DB 1개씩임 ㅋㅋ 같은 토픽아님 구별 하시길.. 당연히 Risk factor, cause, treatment 다 말해야하고 어떤애가 1 insulin injection인데 oral anti db말하다 개털림 ㅎ. 제일 기억나고 아무도 대답 잘 못했던건 intensive insulin treatment였나..
Crohn disease 넘호 쉬움로 패스 진짜 노트에 있는거 다 말하셈 UC보다 cancer 높고 extra intestinal symptom 다 말하라 하니께 다 외워가셈.
대망의 내 토픽 anotectal hemmorhage 기억나는건 개털린 기억뿐.. 베트남 애들이 햄릿 인펙션으로 오지게 걸린다했음. 질문은 똥쌀때 아프다로 시작함. anal fistula 언급할땐 abscess 꼭 말하고 이거 있으면 가렵다고 말하라고했음. 그외 risk factor, treatment, surgery. Crohn이 들어가야함 RF에 아 그리고 tx에선 rectal antibiotic 뭔지 물어봤음 알아가셈
obesity 여기서도 털림 일단 아는척 오지게하다 개털림 BMI만 말하다 허리 둘레 안말해서 털리고 수치 몰라서 털리고 여자 남자 둘레 나눈건 잘했다고 하자마자 실망을 시켜드림. obesity 이거 어떻하면 생기냐해서 간단하게 많이 먹고 genetic hormone leptin여기 여기를 말하지 말았어야했어 leptin neuropeptide Y에서 개털리고 internal에서 피지오로 넘어감 ㄹㅇ:; hormone regulation 식욕억제 싸이클을 다 말해보라함 여기서 개개털리고 마지막으로 tx. 무조건 운동 식습관 그담에 써저리 rounx Y 아 몰라 그거랑 slip? gasterectomy. complication malabsorption 특히 비타민을 말하심. orilsatat bupoprion 요거 말하고 new obesity durg 대라함 못댐 알리가 말함 뭐지? 암튼 orlistat는 lipid 흡수 잘 못해서 찐따 드러그하고함 그리고 끝
오랄 후기:
저는 3주차 internal A dpt. 에서 쳤습니다.
그날 본 9명중 4명은 파락교수님과 쳤어요. 제가 그중 하나.
미니멀은 gastro부분은 모두 겹쳤고, metabolism에서 한문제만 안겹쳤어요. metabolism은 문제가 많지 않으니까 다 보시고 가시는걸 추천!
프랙시험 먼저 보고 10시에 다 모여서 띠오리 보는 방식이였습니다.
프랙티컬 시험에서 저는 chron's disease 환자를 봤는데, 크론과 UC의 차이점 많이 물어보시고, 특히 약물치료 많이 물어보셨습니다.
Theory with prof.paragh
1. colon cancer
RF가 뭐냐 - age, family history, alcohol, fatty food, sedentary lifestyle, ulcerative colitis…
familisl polyposis syndrome이 뭐냐 - FAP, gardner syndrome, turcot syndrome, 나열하면 됩니다.
gardner와 turcot의 차이가 뭐냐 - gardner는 bone and soft tissue tumor 와 관련, turcot은 CNStumor. 예를들어라 - medulloblastoma
lynch syndrome이 뭐냐 -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2. osteomalacia와 osteoporosis
원인이 뭐냐, 차이점이 뭐냐. 약은 뭐쓰냐 ( osteoporosis는 bisphosphonates, estrogen, calcium supplements. osteomalacia는 vitamin D supplements)
기억나는 주워들은 질문들
dm1 patient를 치료할때 intensive insulin therapy란?
malabsorption과 maldigestion 차이 알고계세요! pancreatitis 일때 maldigestion. malabsorption이라고 해서 어떤친구 혼났어요.
insulin therapy 를 할때 fasting glucose level은? 단순히 7이하라고 하면 안되고,
? Patient with DM for 2 years - target HbA1c of 6.0%
? Patient with DM for 12 years - target HbA1c of 7.0%
? Patient with DM for >20 years - target HbA1c of 8.0%
이렇게 대답해야합니다!(solla노트 endocrine part에서 가져왔습니다.) international들 다 대답못해서 뒤에 헝가리친구가 대답했습니다..
DM patient에게 가장 먼저 제안해야 할것은 lifestyle modification.
DM2 의 medications - metformin, dpp4 inhibitors, sulfonylurea, acarbose, SGLT1… 손가락 접으시면서 세십니다.
김윤구
Patient come with epigastric pain with postpradial pain. Gastritis
Type of Gastritis ) Acute Chronic
Etiology of Acute , Etiology of Chronic.
Which factor in Chronic, cause malignant. H.Pylori
What is Fuctional Dyspepsia.
Def)Inproper movement. Etiology)GERD, Gastritis
Treatment) PPI H2Blocker.
Patient come with when the patient is walking but he got pain in his leg. Arterosclerosis
Pathogenesis of Arterosclerosis.
Theory of Arterosclerosis : The theories are the infiltration theory, lipid theory, the hemodynamic theory, the fibrin incrustation theory,
the nonspecific mesenchymal hypothesis and response to injury theory.
What is formal theory in nowadays? I Don't know
Risk factor for acterosclerosis) HTN ,Hyperlipidemia, Alchol , Tabacoo (Want These 4 answer)
Treatment ) Only Statin in case of atherosclerosis, ACE inhibitor , Aldosterone inhibitor In HTN (Don't tell B-Blocker)
- Patient with odynophagia and dysphagia, hematemesis- esophageal cancer, types and risk factors, therapy
- Patient with diarrhea after eating- could be malabsorption syndrome or maldigestion syndrome. Possible causes. How to diagnose- triolein test, schilling test, one more-can’t remember the name. Differential- IBS, celiac disease etc
- Crohns- complaints, areas involved, extraintestinal complications, treatment
- Alternating constipation and diarrhea with hematochesia- colorectal cancer. Location of tumor that causes these symptoms, other locations and the presenting symptoms. Risk factors, familial polyposis syndromes. Gardner and turco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hnpcc other name- lynch syndrome. Describe duke classification. Treatment- distal tumors: radio- and chemo- therapy then surgery, proximal tumors: surgery then radio- or chemo- therapy if necessary. Duke A- surgery alone is okay, other stages require rtx or ctx
- Causes of chronic pancreatitis
- Patient with pain and hematochesia when defecating- hemorrhoids, fissures or abscesses. Risk factors and treatment of hemorrhoids. Other symptoms of hemorrhoids
- Baby with itching gluteal region- helminthic infection. Lab- eosinophilia
- DM 1- etiology, typical symptoms (6 p’s), HLA DR3 and 4, autoantibodies, treatment. Definition of intensive insulin therapy
- DM 2- etiology, common symptoms(chronic skin infections, carbuncles, furuncles, fungal infections eg vaginal candidiasis, intertrigo), treatment
- How to differentiate type 1 and 2 based on lab values- insulin and c peptide levels
- Complications of DM, symptoms of autonomic neuropathy. Other complications of eye(cataracts and glaucoma) and kidney (papillary necrosis and pyelonephritis) other than micro and macrovascular complications
- Obesity- how to classify(BMI and waist circumference), etiology, complications, treatment- lifestyle and diet, medication (orlistat, naproxen and bupropion), surgery. Most common cause of monogenic obesity- Melanocortin receptor 4. Obesity is mainly polygenic (up to 80 genes participate in regulation). Studies that show polygenic inheritance- twin studies, other study showing 1 obese parent= 50% risk, 2 obese parents= 80% risk. Central regulation of appetite( NPY and POMC, Leptin, ghrelin, insulin)
- Patient with bone pain- osteoporosis or osteomalacia/rickets. Other endocrine causes (hyper and hypo -thyreosis, Cushings, hyperparathyrosis etc. different endocrine disturbances affecting calcium homeostasis) Difference between osteoporosis and osteomalacia, treatment for both of them. Incidence of osteomalacia=30-40%, more common in black people- melanin reduced absorption of vitamin D
In the exam I got the head of the department, you pick 2 topics. The exam is not easy with him, he asks a lot of questions, but overall he is very nice. I got the pathomechanism of atherosclerosis, I explained on how it happens in terms of pathology. He asked for the different stages of atherosclerosis formation, what makes the clot stable and unstable. how can we prevent atheroscelrosis formation (Primary and secondary), what are the risk factors for it's formation and how can we treat it (Pharmacotherapy; Nsaids. Aspirin, Ace inhibitor..)
The second topic was pancreatic carcinoma, I once again explained what was in Pathoma. He asked aLOT about the liver function test, GGT (Where is it found?), Alkaline phosphatase. What lab parameters go up in pancreatic cancer? (Lipase and amylase, but lipase is more specific), asked about jaundice what do we see in posthepatic jaundice (Colour of urine and stool). Also they will ask you about physiological values of stuff, for example they asked me about the physiological value of Bilirubin in the body and the UNIT. Also they ask about different signs (Like courvoiser's sign..)
I had Diabetes mellitus 1, in which he asked a lot about the Insulin therapy and different types of them, duration of action and regimens and types. The other topic was Toxic liver, Heamochromatosis, Wilsons, pretty standard from Solla notes but also asked a lot about Cirrhosis. For Dessert I had the Practical test it was nice got an EKG and took a patient history, did not really do any physical on the patient in front of the teacher. He asked me about treatment of gastric bleeding. Thats about it. I used mostly the things Firas posted but in addition osmosis and onlinemeded. Best of luck guys!
I also had it today.
Physical: Did the history and then were asked about 3 questions each.
What and where is the Mcburney point? What'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anti mcburney? (ascites paracentesis). The difference between exudate and transudate. 9 quadrants of the abdomen? If an old patient has pain in the left iliac region with bloody stool and fever? (Diverticulitis). What are the complications of diverticulitis?. Also asked one to percuss the liver and then what could be wrong if there's no liver dullness (perforation), and what you should do in that situation (send patient to surgery) and finally what is the best diagnostic tool for a perforation (Native X-ray, shows air under the diaphragm).
Theoretical: I got Ulcerative colitis which is a pretty comfortable topic, I forgot some signs and symptoms about the extraintestinal but that was fine. He also asks around the topics, in the related topics, asked me about Crohn's for example but didn't go into any detail about it. I also got surgical treatment of DM and follow up on a diabetic patient and I talked about what I wrote in the notes I've posted, he added to that there are mainly two classifications, malabsorptive (e.g. Gastric bypass) and restrictive (e.g. Gastric band). I talked about the operations themselves which was fine but didn't mention those classifications. Then he hardly asked anything about the follow up on the diabetic patients. He wanted to know about Hb A1C and then what's the best way to keep track of a pregnant woman with gestational diabetes (Fructosamine, don't need to wait 3 months to monitor it, only 2-3 weeks).
He was a nice examiner, I like this way of examination much more than the Paragh one so I might be a little biased.
Physical Examination: we got a guy Sztanek Ferenc, we took history and he only wanted to know what was the problem now and then asked theoretically about it and also asked other questions, I was asked about different kinds of Anemia in relation to GI bleeding and Alcoholic liver disease, he wanted to know lab tests for most things or how we can find out the person has the diseases. he asked a lot but he was nice. We didn't have to do the examination.
Theoretical: I got prof. Paragh. It was the same setup as usual with him but this time we actually draw 2 topics and then he makes a case about it (we cant see which topic we draw). I got Oral antidiabetics, make sure you know how they work and then I got Hepatocellular carcinoma, all he wanted to hear about it is written in step up to medicine, specific thing he wanted to hear how much elevation of the AFP, his answer is 100x fold is characteristic
What I studied: Step up to medicine, Mix of Solla notes and icelandic notes, missing topics in drive and Veigars missing topics, onlinemeded, osmosis and a lot of Google !
Good luck 😊
Had it yesterday, all minimals repeated.
Paragh was the examiner. made us draw topics that we couldn't see.
1. patient w abdominal pain and guarding - acute abd. causes, e.g. ileus, appedicitis, pancreatits, gallstones…. then he asked types of ileus- obstrucitve, paralytic.. caus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ppendicitis… then something about pancreatitis, cause and don't remember what more.. typical pain with gallstones.. don't remember if there was more
2. patient w bone pain - osteoporosins and osteomalacia. typical patient - postmenapausal women. causes, complications and treatment… basicly all he asked was covered in Solla notes :)
the parctical was nice, he checked what topics we had and asked questions related to that, we basicly did abdominal examination and foot examintion.. i did deep examintaion and he asked me what I am looking for and if I find a mass how i describe it…
so all in all pretty nice exam :)
Good luck all !
For atherosclerosis, you need to know the territories of atherosclerosis and there are 6 of them for paragh. The theories are the infiltration theory, lipid theory, the hemodynamic theory, the fibrin incrustation theory, the nonspecific mesenchymal hypothesis and response to injury theory.
Some more questions from Prof. Paragh:
Patient comes to you with diarrhoea & he says he is stressed due to the exam period- irritable bowel syndrome. Symptoms & signs, how is it diagnosed, treatment- important to tell the patient to increase their physical activity, other treatments
Incidence of diverticulosis in the population & treatment of diverticulitis
Pregnant patient with polyuria, polydipsia- gestational Diabetes
When should it be screened for ?
Target glucose level in gestation diabetes, diagnostic tests, treatment- insulin, why do we need to maintain slightly hypoglycaemic state in gestational diabetes - due to risk factors in the baby like macrosomia, IRDs,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etc
Patient with cirrhosis & is a chronic alcoholic , has jaundice & lost weight recently what could be the causes- Hepatocellular carcinoma. Types of liver Tumors ( benign - adenoma, FNH, cysts & malignant - HCC &
Sarcoma)
Tumor marker in HCC- AFP & how much is it elevated. what percentage of benign Tumors get converted to malignant in the liver? Treatment of HCC , Prognosis of metastatic liver cancer
Patient with pain in leg after walking some distance- artherosclerosis obliterans. Risk factors, theories of artherosclerosis, mechanism & treatment .( modify lifestyle quit smoking, statins, ACE inhibitors, aspirin
Difference between human insulin & insulin analogues
Other lipid lowering drugs- PCSk9 inhibitors & their names
Examiner not parag
Topic acute viral hepatits
lab diagnosis of acute HBV infection, diagnosis of inactive carrier state, what you see after vaccination? When do you see anti HBc antibody in blood? Some patients have active hepatitis but no HBsAg in blood, how do u confirm infection? (check viral DNA). Indication for liver transplant in HBV patient (when viral DNA is 0 in blood), contraindications? (in sepsis, CRF). Is Liver transplant indicated in HCV infection (of course). First line drug in HBV is interferon alpha. He asked what are primary liver disease that are indications for liver transplant (psc, pbs, aat, Wilson, hemochromatosis…) what primary liver disease is contraindication for transplant (alcoholic liver disease). HEV in pregnant is a risk for fulminant hepatitis. Extraintestinal symptoms of HCV (glomerulonephritis, nephrotic syndrome, cryoglobulinemia, eye problems, vasculitis)
topic lipid therapy
Statin: what does it decrease in the lipid profile (ldl cholesterol and increase hdl, no effect on TG), side effects? When to check liver enzymes and CK for side effects after administration? (1 month) what will be the patient’s complain? (proximal muscle weakness)
Niacin and fibrate what do they decrease? (TG) what metabolic disease have hyperTG? (DM). what is the GI complication of high TG in blood? (acute pancreatitis). What primary liver disease has high TG? (alcoholic liver disease)
How would you decrease high blood TG without using drugs? Plasmapheresis
PCSK9 inhibitor: function of pcsk9? (internalize LDL-rec and mark them for destruction) what does it lower? (ldl cholesterol)
2019 Internal Gastroenterology 후기
Minimal
제가 친 날에는 아무도 안떨어졌습니다.
미니멀 채점하고 한 30분 뒤에 각자 프랙 쌤이 적혀져있는 종이를 나눠주고 찾아갑니다.
Physical examination
다른 후기들은 프랙이 되게 오래 걸린다던데 저는 총 1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처음에 한 15분 정도 쌤 기다리고 학생들을 환자들한테 보냅니다. 그리고 30분 뒤에 온다고 하고 갔습니다.
저는 81세 할머니였고 구글 트랜스레이터로 대화했습니다. 그냥 얘기할때 마이크에 대고 얘기했습니다.
집에서 갑자기 윗배가 아팠고 right shoulder and scapula로 radiate해서 왔는데 gallstone이 있어서 이번주에 입으로 뺐다고 했습니다. (ERCP)
히스토리 테이킹하고 phys exam 했습니다.
쌤이 찾아왔을때 히스토리 순서대로 알려드리고 Phys exam 보여드렸습니다.
질문: 환자가 gallstone이 의심되면 뭘하냐
답: lab test 와 us
질문: differential diagnosis
답: Upper gi 에 있는 모든 organ들의 disease를 댔습니다
질문: abdominal organ origin이 아닌데 referential pain이 abdomen인 parhology는?
답: inferior mi (못맞춤)
질문: ecrp 어캐하냐
답: endoscopy 입으로 집어넣어서 duodenum에서 ampulla of vater 에 넣어서 common bile duct로 들어가서 집게로 gall stone collect 한다
질문: 그 ercp로 gallstone을 collect하는 basket 이름은?
답: Dormia basket
Theory
Papp Maria
1시에 시작 한다고해서 시간 맞춰서 갔습니다. 1시 30분 경에 시작했습니다. 앞에 있던 헝가리 애들이 줄줄이 토픽 뽑고 포기하고 가서 제가 첫번때로 쳤습니다.
종이에 적어 놓은거를 보고 채점하듯이 봅니다. 그리고 부족한 부분에서 질문 합니다.
-PPI 종류 5가지 각각의 dosage
Chronic viral hepatitis
-Epidemiology/Geography of HBV and HCV
-Diagnostics
거기에 antibody, antigen들의 positive, negative 한것들이 있는 case들 6가지를 보여주면서 이 환자들의 immunological 한 state를 쓰라고했습니다.
뭐 not infected, have been infected, vaccinated, active infection, chronic infection이런것들이였습니다…
-Treatment
Diabetes mellitus: late complications
-질문 안함
5.8. Dermatology
2019.01.08 화요일
Examiner: Dr. Krisztián Gáspár
공부기간: 3주
Theoretical Topic: 31. Autoimmune bullous diseases (incl. pemphigus, pemphigoid, dermatitis herpetiformis)
Practice Topic: 8. erosio interdigitalis
Picture: 52. erythroderma
덤 세미나하는 라이브러리에서 시험 칩니다. 가면 일단 미니멀 10개 적힌 종이 나눠주고 적으라 합니다. 미니멀 리스트에 없는데 나온 문제가 하나 있었는데 "Notifiable STI?"라고 되어 있길래 그냥 아는 STI 다 적었습니다. Syphilis부터 Scabies까지.
시험관마다 미니멀의 용도와 커트라인이 다른 듯 합니다. Dr. Krisztián Gáspár는 10개 중 7개도 못 쓰면 아니 되어요. 미니멀 적어낸 후 토픽 뽑은 담에 종이에 쓰는 시간 갖는데 그 때 채점합니다. 중간에 2명 미니멀 컷 당해서 바로 집 보내는데 갑분싸…
쨌든 종이에 다 쓰고 나면 하고 싶은 사람부르는데 그 때 나가서 하면 됩니다.
좋아하는 숫자 하나를 대라고 해서 13을 댔더니 13에 4를 곱한 52번인 Erythroderma 사진을 보여주더군요.
Confluent redish+scaly해서 Erythroderma다! 라고 말하니까 Cause를 대라고 합니다. Cause는 미니멀에 있으니까 보시면 되어요.
담엔 Sezary syndrome을 설명하라고 하십니다. 미니멀에 있는 거 일단 말하니까 mycosis fungoides의 Stage가 몇 개 있냐고 물으시네요. 3개라고 답했지만 4개라고 하시며 비슷하니까 봐준답니다…뭐지..
참고로 질문 하시는 도중에 계속 종이는 읽으십니다. 즉, 제가 종이에 적은 내용을 발표할 일은 없었어요.
종이에 적힌 IVIG가 뭐냐고 물으십니다. Intervenous Immunoglobulin이라고 답하니까 이 IG가 뭐냐고 물으십니다.
IgG라고 말하니까 그럼 이게 어디서 오냐고 물으십니다.
뭐 E.coli가 만들어 주지 않을까 싶어서 말하니까 아니고 사람이 헌혈하는 거라 합니다.
3일에 한 번 기부가능하고 한 번 할 때마다 5000포린트 준다면서 개꿀알바라 하시네요.
Pemphigus vulgaris에서 Intraepidermal vesicle formation을 뭐라고 부르는 지 물으십니다.
답은 Acantholysis. 공부할 때 본 적은 있는데 이게 그거구만 싶었죠.
다 하고 하시는 말씀이 5점을 주고는 싶은데 너도 알다시피 Excellent하지는 않은 것 같다 하시며 무슨 의사가 되고 싶냐고 물으십니다.
Pediatric infectologist라고 말하니까 Varicella zoster를 설명하라 하십니다. chicken pox랑 herpes zoster 설명하다가 끊으시고 치료법을 물으십니다. 렉슬엔 72시간이라고 되어있지만 인펙토에서는 48시간 내로 Aciclovir를 줘야 한다고 말하니까 Dose도 물으십니다. 미니멀에 없는 Dose는 따로 안 외워서 대충 200mg X 5 times per day X 5 days라고 하니까 너무 적다고 다른 학생한테 물으십니다. 답은 800mg으로 4배 하면 됩니다. 이걸 외우고 다니다니 너란녀석은 도덕책.
Varicella zoster의 다른 이름을 물으십니다. 한 3초간 데꿀멍하다가 Herpes계임을 기억에서 되살려냈지만 아직 번호가 남아있습니다. 6이나 7은 당연히 아니겠다 싶어서 일단 제꼈는데 여기서 뇌정지와서 HHV8이라고 말해버립니다. 물론 얘는 Kaposi sarcoma virus죠. 정답은 HHV3. 참고로 HHV5는 CMV입니다.
Kaposi sarcoma의 Kaposi의 직업을 묻습니다(?)
Infectologist? 답은 Dermatologist
어느 나라 사람이냐고 묻습니다(?2)
Hungarian. 맞습니다. 이 헝국인들의 자부심이란…
왜 Kaposi라고 지었는지 묻습니다(?3)
??????자기이름이라서????. 답은 자기 고향 이름이 Kaposi라서… 고만하시져 센세…;;
여하튼 추가 질문에서도 삽질하니까 고민하시더니 그냥 애들 사이에 껴서 짜투리 질문이나 받으라고 하십니다. 점수는 얼마나 잘 받아먹는지로 결정하시겠다고…
중간에 받은 질문들을 적어보자면,
necrotisans fasciii 레코그니션해야 했었고
molluscum contagiosum 그림 안 보고 설명만으로 레콕하기
Melanoma에서 쓸 수 있는 테크닉에 PET-CT이 있는데 여기서 쓰는 agent: Fructose입니다.
necrotomy, necrectomy 차이: necrectomy는 말 그대로 dead tissue removal이고, Necrotomy는 Z자 모양이나 일직선으로 Opening 만들어 놔서 Compartment syndrome방지하는 겁니다.
Psoriasis의 치료정도는 무엇으로 결정해야 하는가. : severity
그럼 그 severity는 무엇으로 결정되는가 : Body surface area + DLQI(dermatology life quality index) + PASI(psoriasis area and severity index)로 결정한다 합니다. 노트, 렉슬에도 없으니 그냥 이거 세 개로 한다고만 알고 가세요.
IL12/23 antibody이름: Infliximab, etanercept, adalimumab/ ustekinumab
여기서부턴 질문이 흠좀많무합니다. 근데 그냥 이미 학생 점수 찍어놓고 갖고 노는 것 같기도 합니다.
IL12를 이루고 있는 구조가 뭐냐. : heterodimer
그 dimer를 각각 아느냐: p40, p35
p40에서 40이 뭐를 뜻하는 지 아느냐: 40 kilodalton
Molluscum contagiosum treatment 중에서 Laser treatment가 있는데 그걸 어느나라에서 처음으로 했는지 아느냐. : 헝가리 세게드. 이거 말하면서 첨 답한 학생이 에게르라고 말했는데 에게르는 아니지만 자기 고향이고 좋은 도시라고 그러십니다.
그밖에도 infliximab의 xi, adalimumab의 li, ustekinumab의 nu, adalimumab의 ada가 뭐냐는 질문을 던지셨습니다. : ...
결국 마지막 학생 오랄 끝날 때야 저도 끝났습니다. 내 시험은 1시 40분에 끝났는데 4시까지 남아있어야 했습니다… 제 부족한 덤 지식에 벌을 주신 듯한 기분;; 머 잘 끝나서 다행이지만…
미니멀 꼭 다 외워가시고 시간 투자하셔요. 양이 미니멀 양이 아닌 지라 시험 하루이틀 전에 보려다가 다 못 볼 수도 있고 시험에서도 많이 물어보는 것 같아요. 이 교수님은 Mean하다고 들었는데 그 정돈 아니고 그냥 돌아이? 같습니다, 웃긴 쪽으로요.
그럼 수고비읍~
dermatology
dr. emri gabriella
5. eczema
eczema - non infectious inflammatory skin diseas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ivy, oak 등에서 나오는 poison 에 의한 pruritus, urticaria lesion.
patch test를 통해 진단. 그럼 prick 은 언제? type 1 hypersensitivity reaction을 감별할때 사용.(papular lesion)
treatment - remove causative agents, topical corticosteroids, restore skin barrier.
irritant contact dermatitis - chemicals, acid, soap등에 의해 생김.
dyshidrotic dermatitis - abnormal sweating, pruritic, multipe vescicles on palms or soles. treatment topical corticosteroids.
microbial eczema - coin shaped annular papules on extremities. due to s. aureus.
16. acne vulgaris
common in puberty and young adults.
papule, pustules.
open comedone type, closed comedone type
좀 더 심한 acne type이 뭐냐? papular pustular acne, 더 심한 경우, acne conglobata.
treatment : topical retioids (adapalen, isotretinoin), incision, oral retinoids, oral antibiotics.
언제 incision을 하느냐? extensive severely inflammed nodule이 생기면 incision.
(주의, 여기선 corticosteroid가 적적한 medication이 아닙니다.)
사진 : hypopigmentation vitiligo 라고 설명되어있는 사진 (Dermatology Pictures 2015-16.pdf 파일에서 71page 에 있는 사진)
vitiligo라고 하면 틀리고, tinea versicolor by fungal infection이라고 해야합니다. treatment는 antifungal agnets
page 52의 psoriasis 사진 보여주시고, 다른 가능한 병명들 나열하라, lupus erythematosus, chronic bacterial infection…
examiner 평가 : 사근사근하게 말씀해주시고, 점수도 잘 주십니다. 내가 틀리게 말했더라도 교수님께서 바로 힌트를 주시니까 그 단어를 잘 조합해서 말하면 답이됩니다.
김윤구
Gabriella Emri
Practical Topic Systemic Corticosteroid
이 토픽은 내가 아예 안 본 거라서 Topical corticosteroid로 밀고 가려다가, 선생이 이건 아니라고 해서 다른 약 말하랬는데 아예 말을 못해서 병명을 던져 줌.
1. Psoriasis에 쓰는가. 잘 안 씀.
2. 그렇다면 잘 안 쓰는 이유 Rebound phenomenon에 의해 더 심해지기 때문에.
3. Corticostreoid Calculation 방법. Immunosuppresion을 하려면 high dose, Anti-Inflammatory를 하려면 low dose.
4. Psoriasis 의 Treatment - Retinoid, PUVA, Biological Treatment ( -Mab으로 끝나는것들), Methotrexate.
다행히 토픽 아예 몰라도 다른 거 아니까 넘어갔음.
Theory- Precancarous BCC SCC
Actinic keratosis(SPAIN) , Dysplastic Nevi , Leukoplakia 말하고 다른 In situ 를 말하라했는데 말 못했음. Solla 에 나와있음.
BCC랑 SCC는 미니멀 있는 그대로 얘기하고 BCC Treatment로 Surgical Excision을 얘기하고 5-FU를 얘기하니까 맞긴한데 잘 안 쓴다고 함. 그냥 Surgical Excision만 얘기하면 되는 듯.
1. SCC Spreading Way- Through Lymph vessel.
Picture - Herpes Zoster.
사진 파일을 안 봐서 몇 쪽인지 모르지만 사진은 환자 얼굴에 빨간 점들이 여러 곳 있었고 Herpes zoster에 대해서 미니멀에 있는 대로 물어봣음.
Primary lesion - Grouped Vesicle. Location - Dermatome.
아예 안 본 거 뽑아도 다른 토픽을 물어봐주며 답을 하면 넘어가 주기는 하지만 절대 점수는 짜게 받게 됩니다. 뭐 당연하지만.
미니멀이 진짜로 제일 중요한 듯 합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Solla 보다는 Sharon노트를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Solla는 너무 쓸데없이 TMI라서.
회색단발에 안경끼시고 썩은 치아가 많은 것이 특징이신 여자교수님
첫번째 토픽 22.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incl. gonorrhea, urethritis non-gonorrhoica,other venereal diseases)
1,Gonorrhoica
제가 토픽에 대해서 쭉말한것들은요..
1)caused by Neiserria gonorrheae
2)symptoms
-male :urethritis ->ascending infection->prostatitis, epidydimitis
-female:urethritis->ascending infection->vaginitis, cervicitis,salpingitis
3)treatment
-antibiotic(특정약물이름은 묻지 않으심)
교수님질문은요..
1)diagnosis?? gram staining(culture도 말햇지만 결국 원하시는답은 staining이엿습니다)
2.Non~
1)caused by Chlamidia trachomatis
3,other venereal disease
HSV
HPV
두번째 토픽 Pediculosis
제가 말한것들은요..
1)caused by lice
2)occurs in head body pubic region
3)removed by tweester, dont cush it
교수님 질문은요
what is specific drug used? permethrin
사진은요 발에 신발자국 모양대로 빨갛게 피부색이 변해 있는 사진
-skin color is red, and the shape is specific so I think the patient contacts something. so the diagnosis is allergic contact dermatitis
교수님질문은요
1)what is diagnosis? patch test
2)what is treatment? topical corticosteroid
3)what is erythema nodosum?(사진과별개의 질문은하심)
4)which disease is related erythema nodosum? Tuberculosis, Inflammatory bowel disease etc
5)what is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원하시는 답은 moisturising (topical cortico steroid, anti histamine)
*시험레지할때 교수님보고 쉬운교수님(해드) 찾아서 레지했는데요 전날에 교수님이 바꼈습니다..
그러니까 교수님보고 레지하시면 위험할듯합니다..
*미니멀을 완벽하게 써내지 않아도 얼추 중요한 단어 들어가 있으면 패스 시켜주는 것같아요 저는 미니멀을 바피나, 마이크로 외울때 처럼 달달달 외워가지 않았습니다 -근데 이것도 미니멀을 소홀히 해도 된다고 조언할수 없는게 어떤 교수님은 학생이 잘 못하면 미니멀을 질문하신다고 합니다 (도와주려고)
*treatment에 대해서 이야기할때에 topical 인지 systemic 인지 많이 물어보십니다 잘 구분해서 외워두세요~ (practice topic 9, 12 먼저 공부하시면 편합니다!)
나는 gabriella imli 라는 여자교수님께 봤었는데, 아주아주 nice 하셨어! 위치는 덤 디팟 영층에서 기다리면 되고 아침에 secretory 와서 미니멀 먼저 나눠주고 미니멀 풀 시간 30분 정도? 주어져. 그다음에 시험관 들어 오셔서 미니멀 채점을 10분정도 하고, 학생들 한 명씩 호명하면서 시험이 시작 되는데, 먼저 틀린 미니멀 있으면 왜 틀렸는지 물어보고, 그 다음에 토픽 설명해보라고 하면서 본격적인 시험에 들어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픽쳐 1개 보여주면서 뭐라고 생각하니? differential diagnosis는? treatment? 간략하게 물어보고 끝!
덤 시험은 토픽도 그렇고 픽쳐도 그렇고, differential diagnosis가 아주 중요한 것 같아요!
For derm- difference between nodule and tuber, when systemic corticosteroids are contraindicated, and exceptions to these contraindications. The dose of corticosteroids used in dermatology. Type of hypersensitivity reaction that causes atopic dermatitis, the underlying pathomechanism. Treatment for herpes zoster(dose is necessary)
5.9. Emergency Medicine
<Emergency 시험때 받은 질문>
1.Practical question
(어떤여성이 왓는데 증상이 sweating, chest tenderness, nausea etc-파락방식으로 질문하십니다)
답변:ABCDE protocol해야함
ECG검사 (ECG종이를 주심:atrial fibrillation이엇습니다 )
1)Atrial fibrillation 의 원인이 무엇이냐? pulmonary embolism5
2)pulmonary embolism 의 치료법? anticoagulant6
2.토픽질문
1)CRT가 뭐냐? capillary refill time
2)airway management에서
손으로 하는거 말고 (head tilt, chin lift,jaw thrust)무엇이 있는가?nasopharngeal tube, oropharyngeal tube, rebreather mask, endotracheal tube?
3.consciousness검사하는방법?
AVPU7,glasgow coma scale
‼️제가 뽑은 토픽은 30번 이었어요
노트로는 25번까지 밖에 없는데 30번을 뽑앗습니다 ..8
30번 토픽에는
A.Disturbance of consciousness, changed mental status
(somnolence, sopor, coma,delirium)
;의식의 변화를 일으킬수있는 원인들을 설명(alcohol intoxication, drug intoxication, schizophrenia, CO poisoning)
원인들 말하니까 다른친구가 이거랑 비슷한 토픽 가지고 잇다면서 따로 질문 안하고 다음토픽으로 넘어갔습니다 simnolence sopor 이런거 설명해야하는줄 알앗는데 요구하지 않으셨습니다
B.The base pathomechanism of emergency treatment(ABCDE approachment)
왜 후기를 쓰다 말았어
2019.07.03.
Emergency
Dr. Szabo Zoltan the head of the department.
장소는 프랙하는 곳으로 가시면 됩니다. 거기서 미니멀과 프랙 시험을 치게 되는데 사람이 많은 날엔 매우 오래 기다리게 될 수도 있습니다.
프랙을 마친 후에 시험관을 정해줍니다. 헤드가 시험관이라면 인터널 A빌딩 정문에서 엘베타고 2층 간담에 내려서 왼쪽 끝9으로 가면 비서 방이 보입니다. 거기서 기다리면 됩니다.
미니멀은 노답 덴티닝겐들이 많이 있다보니 문제 나올 때마다 답을 영창하네요. 덴티쪽이 컨닝문제가 심각하다고 들었는데 이렇게 대놓고 하는 짓거리는 처음 봤습니다. 믿거덴 ㅇㅈ?
프랙에서는 1빠따로 쳤습니다. 시험관은 Dr. Tamas Ötvös. 30대 초중반 쯤 되보인 젊은 남자의사이며 삼백안이 패시브이니 알아차리기 쉬울 것 같습니다.
BLS시범했습니다.
Check environment, gently touch to check consciousness, if unconscious head tilt-chin lift-jaw thrust to check breathing, feel-see-hear the breathing-if no breathing ask for ambulance and let bring AED, chest compression at least 5cm deep 100/min.까지 말했는데 그냥 끊고 자리에 앉으라고 하네요. 두번째 질문은 Epilepsy에 쓰는 약. BDZ-Phenytoin-Propofol 끝
띠오리에서는 이것만 뽑지 말자는 토픽을 뽑았습니다. 6번 토픽.
안 본 토픽들 중에서는 피지컬로 떼울 수 있을 거 같아서 안 본 것도 있지만 이건 진짜 보기 싫어서 안봤거든요.
6. A. Treatment of acute respiratory failure in children (croup, acute asthma, foreign body aspiration)
Croup typical이랑 atypical나눠서 설명하고 symptom줄줄 말하니까 dyspnea인 patient에게 무슨 테스트를 할거냐고 물어보네요.
pulsoximetry-BP-RR-ABG그냥 다말하면 됩니다. 추가 질문은 stridor 종류 뭐가 있냐? inspiratory, expiratory, middle이 있으며 각각 upper, lower, somewhere in the middle respiratory obstruction하면 됩니다. respiratory failure의 타입이 뭐가 있냐? Type1은 hypoxia+normocapnia, Type 2는 Hypoxia+hypercapnia하니까 다음 토픽갔습니다.
B. Delivery on the spot (technique, complications, atonia, uterine rupture, limb presentation, breech presentation)
complication만 말했습니다.
bleeding, crush/grasp injury of neonate face, amniotic fluid embolism, Rh compatibility mismatch, infection…말하니까 무슨 의사되고 싶냐고 묻습니다. 말하니까 끝났습니다.
이머전시 공부한 양에 비해 시험이 매우 뭐 건덕지가 없어서 허망하네요.
ㅂㅂ
이머전시
미니멀을 치는데 다른사람들 후기 듣고 좀 대충하고감.
가면 빔프로젝트로 띄워주는데 그냥 다같이 푸는 형식임. 선생이 빔켜놓고 나가버리심.
그래서 다같이 답맞춰보고 풀기때문에 너무 거기에 시간을 투자할필요는 없을듯.
10개중에 10개 다맞음
프랙은 우린 오늘 ECG는 안하고 그냥 CPR하는데 DR'S ABC로 외워
D Danger R Response of patient S Shout for helping, and call 911 , A Airway B Breath(See,Feel Listen) C Circulatory.
ECG는 안하고 저거 하고 랜덤으로 학생마다 질문을 함 나는 Atrial Fibrilation treatment 를 물어봣고 그밖에 다른 질병들
Treatment 를 물어봣음. 그랬더니 그냥 5점 주고 제 앞에 사람들까지는 인터널 A 디팟으로 가라고했는데 저부터는
Emergency Dept에서 시험을 치게했습니다. 인터널 A로 가면 헤드한테 친다고 보시면 된다고 합니다. 저는 Lorin 전 헤드
한테 가서 시험을 쳤습니다.
띠오리 Polytrauma, Triage.
Polytrauma def를 시작으로해서 ITLS - Primary, Resuscitation, Secondary, Definitive 각각 정의를 설명했더니 질문 1개도안하고
다음토픽을하라했고 Triage또한 Def로 시작을해서 Simple,Advanced,Reverse를 나눠서 각각정의를 설명했더니 질문 1개도안하고
Congratulation 5점 이러면서 점수주고 끝났습니다. 인터널 A로 갔던 덴티애들 제 시험관한테 치려고 중간에 도망나와서 어떻게든
들어가려했지만 짤먹고 다시 인터널 A로 돌아갔습니다. 그정도로 제 시험관은 전체적으로 점수 잘주고 질문안하기로 유명한가봅니다.
Fador노트는 옛날 토픽으로 구성되있기 때문에 구글드라이브에있는 빠진토픽 모아놓은것들을 다 보고 가야합니다. 빡세게하면 4일정도
좀 넉넉하게보려면 5일에서 6일은 투자해야할듯싶습니다. 토픽이 25개에서 30개로 늘어난대다가 Fador노트는 Heart disease 토픽이 아예없기때문에
두개 합쳐서 다 보고 들어가야할거같습니다.
Emergency 2019 파이널 후기
Minimal
미니멀은 10명씩 작은방에 들어가서 옹기종기 한 책상에 모여서 프로젝터에 문제 띄워서 하는데 서로의 답을 안볼래야 안볼 수 없는 구조입니다.
Practice
프랙은 미니멀했던 방에 3명씩 들어가서 하는데 방안에서 한명씩 이름 불리면 BLS하고 ecg를 하나씩 봅니다. BLS 할때 선생님은 보지도 않습니다.
그러고 나서 책상에 앉아서 선생님이 ER에 오는 환자 case를 말해줍니다.
:21살 여자가 tachycardia, dyspnea, chest pain 으로 와서 뭘해야하냐
- 환자가 stable하면 further examination을 해야하는데 일단 ecg를 봐야한다고 했더니 ecg를 보여줬습니다.
족보에 없던 ecg였습니다. 족보에 있는 ecg는 15개가있는데 그중에 12번ecg는 없고 답은 svt라는것만 알고갔는데 정확히 뭔지는 몰랐습니다.
답은 avnrt이고 treatment는 adenosine 6g입니다.
Theory
교수님: István Lörincz
한방에 4명 정도 들어가서 치는데 들어가는 순서는 먼저 준비된 사람이 들어가서 치는 방식입니다.
처음에는 치고 나온 애들 후기를 들어보니까 교수님 엄청 까다롭고 질문도 많이하고 drug에 대한 dose 엄청 중요시 한다길래 전 계속 안들어가고 밖에서 주구장창 drug dose 만 보고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이 교수님은 internal 한거는 하나도 안물어보고 무조건 emergency 상황일때 어떻게 해야하는지만 알고싶어합니다.
토픽1 : Unconsciousness (Differential diagnosis)
저는 렉쳐 5개 가서 토픽 A,B 중에 하나만 쳐도 됐었는데 그걸 교수님한테 말안하면 자연스럽게 둘다 치니깐 얘기를 해야합니다.
일단 definition, causes 간단하게 얘기하고
첫번째로는 unconsciousness level을 AVPU 또는 GCS 로 판단하고 ABCDE approach로 resuscitation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모든 환자에게 O2 supply, IV Access하고 unconsciousness 는 hypoglycaemia 가 제일 많이 일으키니까 blood glucose level을 빨리 확인하고 부족하면 줘야한다. 만약 이 환자가 malnutrition 이나 alcoholism 이 있다면 wernicke - karascoff encephalopathy 를 방지하기 위해 thiamine을 먼저 줘야한다.
그리고 나서 같이온 가족이나 친구 또는 paramedics한테 이 환자가 마지막으로 언제 conscious했는지 head injury, seizure이 있었는지 먹는 약이있는지 등등 질문을 해야한다.
그리고 교수님이 그만하라고 하고 점수 받았습니다.
한 20번째 정도로 들어갔는데 교수님도 지치신건지 점점 시험치는 시간이 짧아집니다. 저 들어갔을땐 다 5분 이내에 끝났고 질문도 거의 안합니다.